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46.3%·부정 51.2%… 20대 부정 70%

  • 등록 2025.10.23 12:54:05
크게보기

-조사기관: 여론조사공정(주)
-의뢰처: 트루스데일리

(시사미래신문)

 

트루스데일리 창간 기념 국민여론조사 ‘여론조사공정㈜’에 의뢰
김현지 부속실장, 국감 출석 “필요” 56.3%… “불필요” 28.2%
“젊을수록 시장경제·반중 정서 강해”… 세대 간 인식차 뚜렷
정치 성향 따라 국정감사 이슈 입장 ‘극명’… 양극화 현상 지속
통일 이후 정치·경제 체제 “사회주의 지지하지 않는다” 83.4%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 여론이 엇갈리는 가운데,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선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의 국정감사 출석 여부에 대해 국민 과반이 '출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여론조사공정㈜'이 최근 창간한 트루스데일리 의뢰로 10월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p) 결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46.3%, 부정 평가는 51.2%로 조사됐다. 여전히 절반 이상이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지만, 긍정 평가도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양상이다.

 

연령별 격차 뚜렷… 20·30대는 부정적, 40·50대는 긍정 우세

 

연령대별로는 20대(18~29세)와 30대의 부정 평가가 두드러졌으며, 40대와 50대에서는 긍정 평가가 높게 나타나 세대 간 인식차가 뚜렷했다.

 

△20대: 긍정 27.3% / 부정 69.1%

 

△30대: 긍정 35.2% / 부정 64.2%

 

△40대: 긍정 61.0% / 부정 37.8%

 

△50대: 긍정 59.1% / 부정 39.2%

 

이는 대통령의 정책 방향이나 정치적 메시지가 중장년층에 더 우호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젊은층은 상대적으로 비판적인 시선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 이념 분포도 그대로… 광주·전라권 강력 지지, TK는 냉랭

 

지역별로도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극명히 갈렸다.

 

△광주·전남·전북: 긍정 71.8% / 부정 28.2%

 

△대구·경북(TK): 긍정 36.7% / 부정 58.7%

 

△서울: 긍정 41.0% / 부정 56.3%

 

△부산·울산·경남(PK): 긍정 43.8% / 부정 53.6%

 

전통적인 지역 기반인 호남권에서는 여전히 높은 지지율을 보였으며, 보수성향이 강한 TK 지역에서는 부정 여론이 강했다. 수도권과 PK 지역은 전체 평균과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김현지 국감 출석, 찬성 여론 56.3%… 대통령 평가와 강한 연관성 보여

 

이재명 정부를 둘러싼 논란 중 하나인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의 국정감사 출석 문제에 대해서는 국민 과반 이상이 출석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6.3%는 “출석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으며, “출석하지 않아도 된다”는 응답은 28.2%,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5.5%였다.

 

흥미로운 점은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와 김 부속실장의 출석 여부에 대한 인식이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점이다.

 

대통령 부정평가층의 89.3%는 출석을 찬성한 반면, 긍정평가층에서는 20.8%만이 출석을 지지했다.

 

이는 김 부속실장의 국감 출석 문제가 단순한 개인 논란이 아니라, 정권에 대한 평가와 직결된 정치적 사안으로 국민이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인 ‘3대 쇼핑 방지법’, 찬성 57.1%… 20대 압도적 지지

 

정부가 최근 추진 중인 ‘중국인 3대 쇼핑 방지법’에 대해서는 국민 대다수가 긍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적절하다”: 57.1%

 

△“부적절하다”: 33.6%

 

△“잘 모르겠다”: 9.3%

 

특히 20대는 78.3%가 찬성을 표명해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반면 70대 이상에서는 찬성(41.9%)보다 반대(44.5%)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젊은층이 중국발 소비 및 부동산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정부의 외국인 규제 정책에 대해 상대적으로 강경한 입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통일 후 국가 체제 방향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81.4% 압도

 

남북 통일 이후 대한민국이 지향해야 할 정치·경제 체제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 중 81.4%가 ‘자유민주주의 기반의 시장경제’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사회주의 중심의 계획경제’는 단 2.0%에 그쳤다.

 

20대의 91.8%가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선호해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으며, 70세 이상은 71.9%로 전 연령대 대비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대한민국 국민 다수가 여전히 서구식 민주주의와 시장 자본주의 모델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있으며, 북한식 또는 사회주의적 경제 시스템에 대한 거부감이 뚜렷함을 보여준다.

 

 

사회주의적 정책 “지지하지 않는다” 83.4%

 

한편, 사회주의적 정책 방향에 대한 일반적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는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무려 83.4%에 달했고, “적극 지지”는 2.9%, “어느 정도 지지”는 6.2%에 불과했다.

 

특히, “전혀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64.6%로 가장 많았다. 이 역시 국민 정서가 좌편향된 경제정책이나 포퓰리즘적 복지정책에 대해 부정적임을 시사하는 결과다.

 


국방·외교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 가장 중요

 

국방 및 외교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외교 파트너 국가로는 미국이 68.7%의 지지를 받아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북한(6.3%), 중국(3.9%), 일본(2.3%) 등은 비교적 낮은 비율에 머물렀다.

 

미국 선호는 모든 연령대와 지역, 정치 성향을 불문하고 일관되게 높은 지지를 받았다. 이는 국제정세 속에서 대한민국 안보 및 외교 전략에서 미국과의 협력 관계가 중심축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다.

 

이번 여론조사는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 여론이 뚜렷하게 양분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령대와 지역별로 상반된 평가 경향이 두드러지며, 이는 정치적 성향에 따라 의견이 갈리는 특정 이슈들—예컨대 김현지 출석 문제, 대외정책, 통일 이후 체제 방향 등에 대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주목할 점은 젊은 세대일수록 자유시장경제를 지지하고 사회주의에 대한 거부감이 강하며, 반중(反中) 정서와 미국 중심의 외교 전략에 우호적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경향은 세대별 정치적 가치관의 분화를 시사하며, 향후 국내 정치 지형과 외교·안보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조사 개요】

 

조사기관: 여론조사공정(주)

 

의뢰처: 트루스데일리

 

조사기간: 2025년 10월 20~21일

 

조사방식: 무선 ARS 방식 (100%)

 

표본 크기: 1,000명 (성·연령·지역 비례 할당)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 4.0%

 


 

김은숙 기자 sisamirae79@naver.com
Copyright @2019 시사미래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시사미래신문 | 등록번호 : 경기 아 52295 | 등록일 : 2019년 8월7일 | 서울본부: 서울시 동대문구 한빛로12 삼우빌딩5층 | 오산본부: 경기도 오산시 수목원로88번길 35 현대테라타워CMC B동 F2910호 | 제주본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북로139(오등동) | 본사: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행정죽전로1길30 | 발행/편집인:강진복 | 연락처 및 광고문의 : 070-4184-9206 | E-mail : sisamirae79@naver.com Copyright ©2019 시사미래신문. All rights reserved. 시사미래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