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미래신문) 충남 아산부곡 국가산업단지, 충북 충주 제1일반산업단지, 경남 마산자유무역지역 국가산업단지가 노후화된 이미지를 벗고, 첨단산업과의 융합 및 친환경화로 거듭나며 지역경제 발전의 새로운 동력으로 바뀌어 나간다.
국토교통부는 5월 9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추진위원회’를 개최하고, 충남 아산부곡, 충북 충주제1, 경남 마산자유무역지역 산단지역을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사업지구’ 후보지로 선정했다.
산업단지는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자 고용혁신의 원천으로 현재 전국 곳곳에 1,331개의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약 12만 8천여개 기업이 237만개 일자리를 공급함으로써 지역 균형발전에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단지 조성이 시작된 지 60여년이 지나고 산업단지가 점진적으로 노후화*되면서 기반시설 낙후, 청년 인재의 근무기피, 문화‧편의시설 부족 등으로 인해 산업단지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노후화된 산업단지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19년부터 6년간 26개의 경쟁력강화사업지구를 지정하고, 국토부, 산업부 등 8개 중앙부처의 사업과 지자체 사업을 연계하여 디지털‧저탄소화 촉진, 근로‧정주여건 개선, 문화공간 확충을 적극 지원해오고 있다.
올해 후보지로 선정된 3개 지역에서 제시한 경쟁력강화사업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충남) 아산부곡 국가산업단지를 거점으로 그린철강 스마트 제조 인프라 구축, 스마트에너지 플랫폼 구축, 수소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전통 철강 산단에서 미래·친환경 혁신성장 허브산단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충북) 충주댐 인근에 위치한 충주 제1일반산업단지를 거점으로 수력기반 그린수소 인프라 구축, 수열에너지 특화단지 조성, 친환경 자동차부품 클러스터 기업지원 등을 집중 추진하여 “지역특화 에너지 기반 그린산단 및 친환경 모빌리티 소부장 스마트 생산거점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경남) 마산자유무역지역 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미래자동차부품 자율제조 공정개선, 미래형 자동차 핵심융합부품 기술혁신 인재양성 사업 등을 추진하여 “미래 첨단 자동차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간다.
앞으로 국토부‧산업부 등 관계부처는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 3개 지역의 경쟁력강화계획을 보완하여 내년 초 경쟁력강화사업지구로 확정‧고시할 계획이다.
국토부 진현환 제1차관은 “우리나라가 산업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간 성장엔진으로서 핵심 역할을 해온 산업단지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면서, “관계부처, 지자체와 함께 노후화된 산업단지에 활력을 불어넣어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균형있는 국가발전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산업부 김호철 지역경제정책관은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사업지구제도는 지역 산업단지가 노후한 이미지를 벗고 첨단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지역 산단이 제조 혁신과 경제 발전을 다시 견인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