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미래신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1일 오전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열린 집중호우 피해 수습·복구를 위한 긴급대책회의에서 “피해 결과가 아닌 예측치를 중심으로 신속히 대응하라”고 지시하며, ‘실질적 피해 지원’과 ‘현장 중심 복구’를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다음과 같은 4대 주요 사항을 강도 높게 당부했다.
김 지사는 “(가평 외에) 포천지역도 피해가 크다”며 “특별재난지역에 행정 경계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중앙정부가 피해 규모를 기준으로 선포하다 보니 실질 피해지역이 빠질 수 있다”고 지적하며, 도 자체 ‘특별지원구역’ 제도를 활용해 도비 50% 복구비 지원 방안을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경기도가 올해 새롭게 도입한 제도다.
김 지사는 또 “행안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피해 예측치로도 지원 가능하도록 공감했다”고 전하며, “조속히 지원금 지급을 준비하라”고 촉구했다.
“비닐하우스 날아가고, 벼 쓰러지고, 젖소 유산된 농가도 있다.”김 지사는 현장 점검 후 보고된 피해 상황을 전하며 도민의 상실감을 깊이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향어, 송어, 우럭 등 양식장 피해도 보험 처리 안될 수 있어 걱정”이라며, 가축재해보험 등 지원책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축산·농업 분야 피해도 놓치지 말고 챙기라고 당부했다. 도는 지난해 폭설 사례를 참고해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소하천 정비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피해 지역을 정비 우선순위에 포함하라”고 지시했다. 특히 “대보교(가평) 주변은 준설 등이 미비해 피해가 컸다는 민원이 있다”며, 즉각적인 정비 조치를 통해 주민의 불안감을 덜어줄 것을 강조했다.
또한 가평·청평 지역 방역 지원에 대해선 “인근 시군 보건소까지 총동원해 적극 대응하라”며 감염병 확산 방지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주문했다.
김 지사는 구조활동과 관련해 “헬기 사고나 도로 붕괴 같은 2차 사고는 인재”라고 지적하며, **“육안상 이상 없어 보여도 ‘돌다리도 두드리듯’ 철저히 점검하고 구조대원의 안전을 최우선하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재민들은 곧 폭염으로 또 다른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며, 예측 기반의 선제적 지원이 더욱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김동연 지사는 전날(20일) 가평 수해현장을 찾은 데 이어, 내일(22일) 다시 피해지역을 찾아 수색 구조 현장과 이재민 대피소를 직접 방문하고 후속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