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미래신문) 서울시는 14일 오후 2시 서울시청에서 지반 안전 관련 전문 학회 3곳과 ‘지반침하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을 체결한 전문 학회는 ▴대한토목학회(1951년 창립) ▴한국지반공학회(1984년 창립)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1992년 창립)이다. 각 학회는 토목·지반·터널 및 지하공간 분야의 연구, 기술 교류, 정책 제안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협약식에는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 ▴최동호 대한토목학회 회장 ▴황영철 한국지반공학회 회장 ▴문준식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부회장이 참석했다.
시는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개발로 인해 전국적으로 지반침하 사고가 잇따르면서, 지하 안전과 관련해 보다 전문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체계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번 협약을 추진하게 됐다.
또한 시는 지반침하를 전담하는 ‘지하안전과’를 7월 1일 자로 신설해 운영하고 있으며, 공사장 주변에 대해 월 1회 이상 GPR 탐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서울안전누리’에 공개하는 등 지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서울시와 3개 학회는 지반침하 사고의 원인을 조사하는 ‘지하안전자문단’의 전문성과 현장 대응 역량을 크게 강화할 예정이다. 지반침하 징후가 발견되거나 사고가 발생해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할 때, 현장에 출동해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복구 계획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게 된다.
자문단은 지반‧토목공학 등 관련 분야의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되며, 일정 규모 이상의 지반침하 발생 시 신속히 현장을 찾아가 침하의 원인과 향후 정비 방안 등에 대한 전문적인 자문 의견을 제시한다.
자문 검토대상지는 현행 법정 기준(사고 면적 1㎡ 이상)보다 강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면적 0.8㎡ 이상 또는 깊이 0.8m 이상이거나 인명피해가 발생한 지반침하 지역 ▴굴착공사장과 인접 도로 또는 동일 지점에서 반복 발생한 지반침하 지역 등이 해당된다.
또한 시는 지반침하 사례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추진하고, 지하 안전 강화를 위한 워크숍·세미나·토론회 등 교육·학술 활동도 지속해서 전개하기로 3개 학회와 협의했다.
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지반침하 위험에 대한 사전 대응 역량을 크게 높여,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지반침하는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전문가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를 정착시켜 나갈 것”이라며, “전문가 중심의 지하안전자문단 운영을 통해 지반침하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서울을 만들어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