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미래신문)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환경이 급속히 변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무인체계, 사이버전, 해양자원 경쟁은 더 이상 미래의 과제가 아니라 당장의 현실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해양 안보의 전략적 중심축은 해군력이며, 그 해군력을 이끌어갈 지휘관과 전략가를 양성하는 핵심 기관이 바로 해군대학이다.
해군대학은 지난 70여 년간 고급 장교 교육을 통해 대한민국 해군의 두뇌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변화하는 안보 패러다임 앞에서 교육과 연구의 혁신 없이는 그 위상을 지켜내기 어렵다. 전통적 강의 중심의 교육만으로는 무인·AI·사이버 영역에서 요구되는 복합적 사고와 전략을 길러내는 데 한계가 뚜렷하다.
이 지점에서 해군대학 발전재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발전재단은 단순한 재정 후원 창구가 아니라, 국가 안보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적 투자 플랫폼이다. 미국 해군대학(Naval War College), 일본 방위연구소 등 주요 선진국의 국방 교육기관들이 민간 후원과 산학협력을 통해 연구와 교육의 폭을 확장한 사례는 시사적이다.
발전재단을 통해 장학금 지원, 국제 교류 프로그램 확대, 첨단 안보 연구에 대한 투자가 가능해진다면, 이는 곧 해군대학이 국가 전략 싱크탱크로서 제 역할을 다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바다는 국경이 없지만, 해양 안보를 지켜내는 능력은 준비된 국가만이 가질 수 있다.

“해군대학이 잘 되어야 바다가 안전하다, 바다가 안전해야 대한민국이 든든하다.
”이 간단한 명제를 기억했으면 한다. 해군대학 재단법인 설립을 통한 장학 지원, 연구개발 투자, 글로벌 교류 확대는 곧 우리의 아들딸이 더 안전한 나라에서 살아갈 기반이 될 것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거창한 구호가 아니다. 작은 참여, 작은 기부, 작은 관심이 모여 거대한 파도를 일으킬 수 있다. 우리 세대가 ‘바다의 시대’를 준비하지 못한다면, 그 대가는 고스란히 다음 세대가 떠안게 될 것이다.
해군대학 발전재단법인설립은 결국 군 내부의 과제가 아니라 국민 전체의 과제다. 안보는 특정 집단의 몫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공유해야 할 공공재이기 때문이다.
오늘 우리가 투자하지 않는다면 내일의 세대가 더 큰 비용을 치를 수밖에 없다.
국민적 참여를 토대로 해군대학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일은 단순한 후원이 아니라 미래 안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다. 대한민국의 바다를 지켜낼 힘은 바로 여기서 비롯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