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미래신문) 인천문화재단 지난 10월 14일 강화군청에서 개최된 '제3회 인천문화정책포럼'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왜 고려의 수도 강화에는 국립박물관이 없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국립 강화 고려박물관 건립의 필요성과 지역 협력 방안을 주제로 열렸다.
인천문화재단은 이번 포럼을 통해 국립박물관 설립의 정책적 타당성과 강화 지역의 주체적 추진 방향을 함께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했다.
기조강연자로 나선 최광식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강화도의 역사적 위상을 재조명하며, “강화는 고려 39년간의 임시 수도이자 구석기에서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전 시대 유적이 공존하는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평가했다.
또한 “국립박물관 건립은 단순한 시설사업이 아니라 강화의 정체성을 복원하고 한국 문화사의 균형을 바로잡는 국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K-컬처’의 ‘K’는 고려(Koryo)에서 비롯됐다”며, 강화가 ‘K-컬처의 뿌리로서 고려문화의 세계적 재조명 거점’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날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장은정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장은 ‘지역 국립박물관의 역할과 기능-국립강화고려박물관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주제로, 국립박물관이 단순한 전시기관을 넘어 지역 균형발전과 문화연구 거점으로서 기능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인천·강화 지역 출토 유물의 상당수가 외부에 분산되어 있다”며, 향후 국립박물관 설립 시 유물 관리권 회복과 열린 수장고 운영이 필수라고 제안했다.
또한 “국립박물관은 세대와 국적을 초월한 포용적 문화플랫폼(Inclusive Museum)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김락기 인천문화재단 지역문화본부장은 “국립박물관 건립을 단순히 중앙정부의 사업으로 보기보다는 지역이 함께 만드는 문화정책 사업으로 만들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강화군이 스스로 역사·문화자원을 발굴하고 활용 구조를 설계해야 국립박물관이 지역과 상생하는 진정한 문화허브로 기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 발표자인 윤승희 강화군청 국가유산정책담당은 ‘국립강화고려박물관과 강화역사박물관 간 역할 분담과 협력 체계 구축’을 주제로, 강화군의 현실적 추진 계획을 제시했다.
그는 “강화군은 국립박물관 설립과 병행해 강화역사박물관의 기능을 재정비할 계획이며, 전쟁사·관방유적 중심의 실감형 전시관 또는 어린이박물관으로의 전환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강화에 국립박물관이 필요한 이유는 단순한 건물 확충이 아니라, 강화의 역사·정체성·문화적 자긍심을 회복하는 상징적 과제이기 때문”이라며, 국립·지자체 간 ‘분리된 역할, 상호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종합토론은 정연학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기조 강연자를 비롯한 주제발표자 모두가 참여해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의 현실적 과제와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토론자들은 강화의 역사적 정체성을 ‘고려’로 유지하되, 다양한 시대의 문화유산을 포괄하는 확장적 전시·연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한 강화의 고도 지정에 따른 이점과 규제의 균형, 주민 참여와 민관 협력의 중요성을 공유하며, “국립박물관 건립은 행정사업이 아닌 지역공동체의 미래사업”이라는 인식을 함께했다.
토론은 “지붕 없는 박물관 강화에, 국립박물관이라는 지붕을 더하자”는 상징적 발언으로 마무리됐으며, 참석자들은 국립 강화 고려박물관 건립이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문화균형발전과 지역 정체성 회복의 상징적 사업이라는 데 뜻을 함께했다.